2025/07/25 2

어린이 전용 환경뉴스 콘텐츠의 필요성과 미디어 격차 문제

기후위기 시대, 어린이도 ‘환경 정보’를 필요로 한다기후위기가 일상화된 사회에서 정보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탄소중립, 미세먼지, 생물다양성 붕괴, 재생에너지 전환 등은 더 이상 어른들만의 이슈가 아니며, 학교와 가정, 마을과 도시 전반에 걸쳐 아이들의 삶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폭염으로 외부활동이 제한되고, 대형 산불로 공기질이 악화되며, 일회용품 규제로 생활 방식이 바뀌는 등 환경 문제는 아동의 생활 조건을 구성하는 핵심 변수가 되었다.그러나 현실에서는 아동이 환경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공식 채널이나 콘텐츠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뉴스 콘텐츠는 대부분 성인 독자를 대상으로 복잡한 과학 용어나 정치적 맥락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아동에게 적절한 수준의 정보 전달은 방치되거나 생략..

육아와환경 2025.07.25

기후불안 시대, 부모의 감정 상태가 아이에게 미치는 정서적 전이 효과

기후위기가 개인 정서에 침투하는 시대기후위기는 이제 더 이상 환경 문제나 과학적 논의의 영역에만 머물지 않는다. 전례 없는 폭염, 장기간 이어지는 가뭄, 예측 불가능한 국지성 폭우, 계절의 붕괴와 생태계의 변화는 인간의 감정 체계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사회적 책임감이 높은 계층일수록 기후 문제에 대한 우려는 일상적인 스트레스로 변모하고 있으며, 이는 ‘기후불안(eco-anxiety)’이라는 용어로 정의된다.기후불안은 단순한 정보에 대한 반응이 아니다. 그것은 현재의 위기를 자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이 할 수 있는 실질적인 조치가 거의 없다는 무력감에서 비롯되는 복합적인 정서 현상이다. 특히 육아를 담당하는 부모의 경우, ‘지금 내가 키우고 있는 아이가 살아갈 미래가 점점 파괴되고 있다’..

육아와환경 2025.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