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3

환경을 이유로 둘째를 포기하는 부모들의 목소리

출산 결정에 영향을 주는 ‘새로운 요인’, 환경 불안최근 몇 년간 기후위기라는 단어는 더 이상 환경 운동가들만의 용어가 아니다. 극심한 폭염, 미세먼지, 산불, 가뭄 등은 일상 속 문제로 자리잡았고, 부모들은 그 영향을 가장 먼저 체감하고 있다. 단순히 더운 여름이 불편한 것이 아니라, 아이의 건강을 걱정해야 하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이 다수 부모들의 공통된 인식이다. 특히 둘째를 계획하던 부모들 사이에서는 ‘이런 환경 속에서 또 한 명의 아이를 낳는 것이 과연 윤리적인가?’라는 고민이 진지하게 오간다. 출산을 둘러싼 논의에서 환경 문제가 핵심 요인으로 떠오른 것은 최근의 변화이며, 이 변화는 출산율 통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환경 요인이 단순한 배경 요소가 아닌 실질적인 ‘출산 저해 요인’으로 작용..

육아와환경 2025.07.11

생태감수성과 정서지능의 관계: 자연이 만든 마음의 힘

생태적 인간이란 무엇인가현대 사회는 기술적 진보와 물질적 풍요를 이룩했지만, 동시에 자연과의 단절, 감정의 왜곡, 타자에 대한 공감력 부족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동시에 겪고 있다. 특히 아동과 청소년의 정서 문제, 공감 부족, 충동조절 저하, 대인관계 불안은 가정과 교육 현장에서 반복적으로 언급되고 있으며, 이는 단지 양육 방식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구조 전체의 긴장과 무관하지 않다. 이러한 시대에 다시 주목받는 개념이 바로 ‘생태감수성(ecological sensitivity)’이다.생태감수성이란 자연을 단순히 자원이나 배경이 아닌 ‘생명체이자 관계 맺는 존재’로 인식하고, 그 생명에 대한 감정적 공명과 돌봄의 태도를 갖는 능력을 말한다. 이는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형성되는 깊은 정서적 반응과 삶의 철학..

육아와환경 2025.07.11

유아기 환경문해력(Eco-literacy) 교육이 필요한 이유

환경문해력, 왜 유아기부터 시작해야 하는가기후위기와 환경 재난이 일상이 된 시대, 교육은 단지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에 머무를 수 없다. 특히 유아기 교육은 생애 전반의 가치관, 태도, 인지방식 형성에 핵심적인 시기로, 아이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살아갈지를 결정짓는 기초를 만든다. 그렇기에 오늘날 유아교육은 단지 인지 능력이나 사회성 발달만을 목표로 할 것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기본 감각과 이해 능력, 즉 환경문해력(Eco-literacy)을 함께 길러야 한다.환경문해력이란 환경 문제를 이해하고, 자연 생태계의 구조와 인간의 영향을 파악하며, 이를 바탕으로 책임감 있는 판단과 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것은 과학적 지식뿐 아니라, 감정적 공감력, 윤리적 사고, 행동 역량까지 포..

육아와환경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