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4

환경동화책으로 키우는 생태 시민 의식

환경동화책, 육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다기후위기, 생물다양성 손실, 자원 고갈 등 전 지구적 환경문제는 이제 어른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오늘날의 아이들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환경 위기의 영향을 받으며 살아간다. 폭염과 미세먼지는 유아의 일상 외출을 어렵게 만들고, 식탁 위의 먹거리부터 장난감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환경 이슈가 육아의 현실 속에 녹아 있다. 이런 시대에 아이를 키우는 부모는 단순히 건강하고 똑똑한 아이를 기르는 것을 넘어, 미래의 지구를 책임질 생태 시민을 양육한다는 사명을 함께 안고 있다.이러한 배경에서 환경동화책은 유아기 생태 감수성 형성과 시민 의식 교육의 핵심 매체로 주목받고 있다. 아직 추상적인 언어보다는 시각 이미지와 이야기 구조에 익숙한 유아에게 동화책은 효과적인 환경 학습 수단..

육아와환경 2025.07.07

자연결핍증과 현대 육아의 구조적 한계

자연결핍증이란 무엇인가?자연결핍증(Nature Deficit Disorder)은 미국의 아동환경학자 리처드 루브(Richard Louv)가 2005년 저서 《자연의 마지막 아이들(Last Child in the Woods)》에서 처음으로 제시한 개념이다. 이 용어는 의학적 진단명은 아니지만, 현대 아동들이 자연과의 접촉이 현저히 줄어들며 발생하는 정서적·인지적·행동적 부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루브는 자연과 단절된 환경에서 자라는 아이들이 주의력결핍장애(ADHD), 정서 불안, 감각통합 장애, 우울증, 사회성 결핍 등의 문제를 보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후 이 개념은 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아동발달, 유아교육, 환경심리학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었고, 자연친화적 육아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경..

육아와환경 2025.07.07

아이에게 남겨줄 수 있는 지구는 어디까지 가능한가

‘지속 가능한 육아’는 가능한가?21세기를 살아가는 부모는 아이를 돌보는 것 이상으로, 아이가 살아갈 미래 환경을 고려해야 하는 책임을 함께 안고 있다. 한 세대 전만 해도 육아는 개인의 문제로 여겨졌지만, 오늘날에는 기후위기와 자원고갈, 생물다양성 붕괴, 미세플라스틱 확산 등 전 지구적 환경 문제가 일상 속 육아의 조건과 방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지속 가능한 육아’라는 개념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고 있다.스웨덴의 환경과학자 요한 록스트룀(Johan Rockström)과 동료 연구자들이 제시한 지구 한계점(Planetary Boundaries) 개념은 오늘날 인류 문명이 지속될 수 있는 생태적 기준선을 제시한 중요한 이론이다. 이는 지구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

육아와환경 2025.07.07

디지털 육아가 지구환경에 끼치는 영향 분석

편리한 디지털 육아, 그 이면에 감춰진 환경 문제현대 사회에서 전자기기는 육아의 필수 도구로 자리 잡았다. 스마트폰으로 수면 음악을 들려주고, 태블릿으로 동화를 보여주며, 스마트워치를 통해 아이의 위치를 확인하는 등 디지털 기술은 부모의 시간과 수고를 줄여주는 ‘효율적 육아’의 상징처럼 인식되고 있다. 팬데믹 이후 이러한 경향은 더욱 강화되었고, 디지털 육아는 많은 가정에서 당연한 선택이 되었다. 하지만 이처럼 편리함에 익숙해진 육아 방식 뒤에는 지구환경에 미치는 복합적이고 구조적인 영향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종종 간과된다.디지털 육아가 지구환경에 끼치는 영향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나타난다. 첫째는 전자기기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과 자원 채굴, 둘째는 전자기기 사용 시 소비되는 전력과 그에 ..

육아와환경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