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2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아동 건강에 미치는 간접 효과 분석

온실가스 감축은 아이들의 건강과 무관한 문제일까?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적, 국가적 노력이 활발히 전개되면서 ‘탄소중립’과 ‘온실가스 감축’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적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정부와 기업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친환경 에너지 전환, 교통 수단의 전기화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 모든 정책의 궁극적 목적은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억제하고, 기후위기의 속도를 늦추는 데 있다. 이 목표는 흔히 ‘세대 전체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것’으로 설명되지만, 실제로 이 정책들이 현재 아동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아이들의 건강은 단순히 의학적 요인만으로 설명될 수 없다. 생활환경, 공기질, 도시 구조, 에너지 사용 방식, 교통수단 등 다양한 ..

육아와환경 15:32:40

‘아이를 키우기 힘든 도시’의 기후 환경적 기준은 무엇인가?

도시가 육아를 거부하는 공간이 되는 순간현대 도시에서 육아는 점점 더 어려운 과제가 되어가고 있다. 특히 기후위기의 심화와 도시환경의 열악화는 이제 부모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극복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주택의 열 취약성, 고온 통학로, 부족한 녹지, 실내 미세먼지, 에너지 빈곤, 공공시설의 열악한 냉방 설비 등은 모두 ‘아이를 키우기에 부적절한 도시’의 환경 조건으로 작용한다. 육아가 어려운 도시란 단순히 교육비나 주거비가 비싼 곳이 아니라, 아이의 생리적·정서적 발달을 위협하는 기후 환경적 요인이 누적된 공간을 의미한다.문제는 대부분의 도시정책이 여전히 산업과 교통, 경제 효율성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아이들의 신체 조건과 건강 취약성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기후위기..

육아와환경 10:2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