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구조가 육아의 질을 결정한다현대 도시에서 육아는 점점 더 ‘개별 가정의 고립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아이를 키우는 과정은 개인이나 가정의 노력만으로 감당하기 어렵다. 주거지의 안전성, 보육시설의 접근성, 공공공간의 질, 교통 시스템, 녹지 공간의 유무 등 도시의 물리적 환경과 인프라 구조가 육아의 질을 좌우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부모가 맞벌이를 하거나 조부모의 양육 지원이 없는 경우, 지역 사회와 도시 환경은 사실상 ‘공동 양육자’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문제는 한국의 많은 도시가 육아 친화적인 도시 구조를 충분히 갖추고 있지 않다는 데 있다. 도시계획은 여전히 생산성과 교통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고, 아이와 부모의 동선을 고려한 공간 배치는 매우 미흡하다. 많은 ..